본문 바로가기
정부 지원금 & 은행

장애인, 다자녀 가구가 받을 수 있는 공과금 감면 혜택 총정리- 전기세, 수도세, 통신비까지… 그냥 내지 마세요!

by hyeshong 2025. 5. 14.
반응형

 

“우리집은 다자녀인데 전기세는 왜 그대로 나올까요?”
“장애인 등록이 되어 있어도 자동으로 감면되진 않나요?”
“진작 알았으면 몇십만 원 아낄 수 있었을 텐데…”

2025년 현재,
정부와 공공기관, 지자체는
장애인 및 다자녀 가구를 위한 공공요금 감면 제도를 다양하게 운영 중입니다.
하지만 문제는?
‘직접 신청하지 않으면 혜택이 자동으로 적용되지 않는다’는 것.

그 결과,
감면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아무 혜택도 못 받는 가정이 수두룩해요.

오늘은 그런 실수를 막기 위해
2025년 기준 장애인 및 다자녀 가구가 받을 수 있는 공공요금 감면 혜택
전기, 수도, 도시가스, 통신비, TV수신료 등 항목별로
신청 방법까지 아주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.


전기요금 감면 – 매월 최대 1만 6천 원 이상 할인

한전(한국전력공사)에서는
장애인과 다자녀 가구 모두에게
전기요금 감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
구분감면 혜택 (월)
장애인 최대 16,000원
다자녀 가구 (3자녀 이상) 기본요금 면제 + 전력량 요금 30% 감면
 

신청 방법:

  • 한국전력 고객센터 (123)
  • 또는 온라인 한전 사이버지점 접속
  • 필요한 서류: 복지카드, 가족관계증명서 등

✔️ 감면은 신청한 익월부터 적용
✔️ 자동 적용 안 되므로, 신청 필수!


수도요금 감면 – 지자체별 최대 30~50% 할인

수도요금은
지자체마다 운영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 확인이 필수입니다.

대부분의 시·군·구는
장애인 및 다자녀 가구에 대해
상수도 기본요금 및 사용량 요금 일부를 감면하고 있어요.

예시:

  • 서울시: 등록 장애인 → 30% 감면
  • 경기도 성남시: 3자녀 이상 가구 → 20% 감면
  • 부산시: 기초생활수급 장애인 → 50% 감면

신청 방법:

  • 주소지 관할 구청 수도과 또는 동 주민센터 방문
  • 서류: 복지카드, 가족관계증명서, 등본 등
  • 일부 지자체는 온라인(정부24) 신청 가능

✔️ TIP:
→ 수도요금 고지서 뒷면에 ‘감면 대상 여부’ 체크 가능
→ 전화 문의만 해도 확인 가능


도시가스 요금 감면 – 난방비 절감의 핵심

도시가스는
한국도시가스협회 또는 각 도시가스 공급사에서
감면을 운영하고 있어요.

대상혜택
등록 장애인 기본요금 면제 + 사용요금 5~10% 감면
다자녀(3인 이상) 일부 지역에서 최대 20%까지 감면 가능
 

신청 방법:

  • 해당 도시가스 회사 고객센터에 전화 신청
  • 서류: 복지카드, 가족관계증명서 등
  • 대표 도시가스사: 서울도시가스, 대성에너지, 인천도시가스 등

✔️ 월 최대 2만 원 이상 절감 가능
✔️ 특히 겨울철 난방비 부담이 큰 가정은 꼭 챙겨야 함


통신비 감면 – 매월 최대 35% 할인

장애인 및 다자녀 가구는
이동통신 3사(SKT, KT, LGU+)에서 기본요금과 데이터 요금 감면을 받을 수 있어요.

대상감면 혜택
장애인 기본요금 35% + 데이터 요금 35% 감면
다자녀(3자녀 이상) 월 최대 1만 1,000원 감면 (요금제 따라 다름)
 

신청 방법:

  • 가까운 통신사 대리점 방문
  • 또는 각 통신사 고객센터 전화 신청
  • 서류: 가족관계증명서, 주민등록등본, 복지카드 사본

✔️ 인터넷 결합상품 이용 중일 경우
→ 통신비+인터넷 요금 통합 감면 가능


TV 수신료 면제 – KBS 수신료 전액 면제

생각보다 많은 가구가
KBS 수신료를 별도로 납부하고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장애인 및 다자녀 가구는
수신료 면제 또는 감면 대상입니다.

대상혜택
등록 장애인 KBS 수신료 전액 면제
다자녀 가구 일부 지자체 감면 운영 중
 

신청 방법:

  • 한국전력 고객센터 123번 또는 가까운 한전지사 방문
  • 필요한 서류: 복지카드, 가족관계증명서
  • 적용 시 월 2,500원 절감 (연간 3만 원 수준)

✔️ 인터넷/IPTV 서비스에 포함된 경우도 있으니
→ 상품 약관 확인 필수


기타 생활요금 감면 (지자체별 추가 혜택도 있어요)

항목내용
쓰레기 종량제 봉투 장애인: 무상 제공 or 50% 할인 (지역별 상이)
공영주차장 요금 장애인: 80% 할인 / 다자녀: 50% 할인
교통비·대중교통 장애인·다자녀 모두 지역별 할인 가능
 

✔️ 대부분 신청 후 1년 단위 갱신 필요
✔️ 주민센터 복지 담당자에게 ‘다자녀 감면 뭐 있어요?’ 물어보는 게 가장 빠름!


최종 요약표

항목장애인 혜택다자녀 혜택
전기요금 월 최대 16,000원 감면 기본요금 면제 + 30% 할인
수도요금 30~50% 감면 (지자체별) 10~30% 감면 (지자체별)
도시가스 기본요금 면제 + 5~10% 일부 지역 최대 20% 할인
통신비 35% 할인 월 최대 11,000원 감면
TV수신료 전액 면제 일부 감면 (지자체 기준)
기타 종량제 봉투, 주차장 등 공영시설 요금 할인
 

 

공과금은 매달 빠져나가는 고정지출입니다.
이걸 줄일 수 있다면 그건 매달 현금이 들어오는 것과 같은 효과예요.

장애인·다자녀 가정은
공공요금 감면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‘직접 신청하지 않으면’ 적용받지 못합니다.

✔️ 복지카드, 가족관계증명서, 등본만 있으면 대부분 신청 가능
✔️ 한번 신청하면 1년 이상 자동 적용
✔️ 오늘 하루, 주민센터 전화 한 통으로 수십만 원 절약할 수 있어요

이제부터 공과금, 당당하게 줄이세요.
혜택은 ‘받는 사람의 권리’입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