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요금은 안 쓰면 줄어드는 거 아닌가요?”
“TV나 냉장고 안 껐다고 요금 폭탄 맞은 적 있어요…”
“누진제 기준이 바뀐다던데, 우리 집엔 어떻게 영향이 있나요?”
2025년부터
전기요금 누진제 기준이 달라지면서
적게 써도 많이 내는 집, 많이 써도 덜 내는 집 간의 요금 차이가 커질 예정입니다.
특히 여름과 겨울철에
전기요금 폭탄을 경험한 1~3인 가구라면
이번 제도 개편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,
그리고 1kWh라도 더 아끼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꼭 알아야 해요.
오늘은
2025년 바뀐 누진제 구조 설명 + 실제 절약 효과가 있는 팁 6가지를
계절별, 가구 수 기준으로 정리해드릴게요.
2025년 전기요금 누진제, 이렇게 바뀝니다
전기요금 누진제는
전기를 많이 쓸수록 단가가 급격히 올라가는 구조로,
특히 1단계 초과 시 요금 부담이 크게 뛰는 게 특징이죠.
2025년부터는
전기 사용 패턴 변화와 단독세대 증가를 반영해 누진제 구간이 일부 개편됩니다.
1단계 | 0~200kWh | 0~250kWh |
2단계 | 201~400kWh | 251~450kWh |
3단계 | 401kWh 이상 | 451kWh 이상 |
✔️ 즉, 1단계 기준이 상향 조정되어 기본요금 부담 완화
✔️ 1~2인 가구의 여름철 전력 사용이 월 220~240kWh 수준이라는 점을 반영한 조치
실제 요금 영향은?
200kWh | 약 27,500 | 약 27,500 | 동일 |
250kWh | 약 38,000 | 약 33,000 | 약 5,000↓ |
350kWh | 약 59,000 | 약 54,000 | 약 5,000↓ |
450kWh | 약 85,000 | 약 76,000 | 약 9,000↓ |
✔️ 평균적으로 월 4,000~9,000원 정도의 요금 인하 효과 예상
✔️ 단, 여전히 451kWh 이상이면 고단가 적용 → 절약 습관 여전히 중요
전기 아끼는 실전 꿀팁 6가지 (1kWh가 아깝다면)
1. 멀티탭 ‘끄기’는 기본, 대기전력 차단 효과는 진짜 큽니다
TV, 셋톱박스, 전자레인지 등
사용 안 해도 계속 전기 먹는 가전 많습니다.
✔️ 대기전력만으로도 가구당 연간 80120kWh 낭비3,000원 절감 가능
✔️ 한 달 약 2,000
TIP: 스위치형 멀티탭 사용 + 외출 시 한 번에 OFF
2. 에어컨은 ‘절전모드’보단 ‘희망온도 설정’이 핵심
여름철 전력소비 1위는 단연 에어컨.
✔️ 희망온도 1도 올리면 → 전력사용 7% 절감
✔️ 실내온도 26~27도 유지 + 선풍기 병행 추천
TIP: 켜고 끄는 것보다 장시간 중온 유지가 효율적
3. 냉장고 문 여닫는 횟수만 줄여도 효율 UP
냉장고는 24시간 가동되지만,
문을 열 때마다 내부 온도가 올라가 전력 소모 증가
✔️ 한 번 열 때마다 복구 전력 최대 10Wh~30Wh 소비
✔️ 식재료는 정리해두고 한 번에 꺼내기
TIP: 냉장고 온도는 여름철 냉장 3~4도 / 냉동 -18도가 최적
4. 조명은 LED로 교체하고, 불필요한 등은 제거
형광등보다 LED는
약 30~50% 이상 절전 효과
→ 집 전체 교체 시 월 500~1,000원 절약 가능
✔️ 오래된 등기구는 교체 필요
✔️ 특히 주방·욕실 LED 전환 추천
5. 세탁기·건조기 ‘예약 시간대’ 설정으로 요금 절감
시간대별 요금 차등은 아직 없지만,
누진제 초과를 피하기 위한 분산 사용 전략이 중요
✔️ 하루 2~3번 전기 집중 사용 시 → 3단계 요금 구간 진입 위험
✔️ 세탁기/건조기/식기세척기 등 분산 실행 추천
TIP: 1~2인 가구는 ‘소형 코스’ 사용만으로 절전 + 물 사용도 줄임
6. 절전형 가전 사용 or 고효율 인증 제품 선택
가전제품 교체 시 고효율 1등급 인증 제품 선택이 기본
에어컨 | 연 20~30% ↓ |
냉장고 | 연 15~20% ↓ |
전기밥솥 | 연 10% ↓ |
✔️ 한국에너지공단 인증 확인 필수
✔️ 오래된 가전은 교체가 장기적으로 더 경제적
이런 제도도 있어요 – 전기요금 감면 신청
기초생활수급자 | 월 최대 16,000원 감면 |
장애인 | 기본요금 면제 + 30% 감면 |
다자녀 가구 | 기본요금 면제 + 사용량 요금 일부 할인 |
✔️ 신청 방법: 한전 고객센터 123 / 사이버지점 온라인 신청
✔️ 신청 즉시 익월부터 적용 (서류 없이도 가능)
최종 요약 정리
누진제 개편 | 1단계 기준 200 → 250kWh 상향 (요금 완화) |
실사용 평균 | 1~2인 가구 월 250kWh 내외 |
절약 팁 | 멀티탭 차단 / 냉장고 문 줄이기 / LED 교체 등 |
요금 혜택 | 취약계층 감면 제도 활용 필수 |
체감 효과 | 월 3,000~10,000원 절약 → 연간 최대 12만 원 절약 가능 |
전기는 안 쓰면 요금이 줄지만,
‘어떻게 쓰느냐’에 따라 같은 전기라도 요금 차이가 크게 납니다.
2025년 누진제 개편은
가볍게 넘길 제도 변화가 아닙니다.
적용 구간만 살짝 넘어도 요금이 급격히 올라가기 때문이죠.
✔️ 지금 우리 집 전력 사용량 확인하고,
✔️ 사소하지만 확실한 절약 습관 하나부터 시작하세요.
1kWh 아끼는 순간, 한 달 전기요금이 바뀝니다.
'경제 &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통신비 아끼는 법, 요금제 바꾸기 전 꼭 비교해야 할 3가지 알아두세요 (7) | 2025.05.14 |
---|---|
도시가스 요금 아끼는 법 계절별 평균 사용량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려요! (5) | 2025.05.14 |
대학생, 사회초년생을 위한 첫 통장 추천 & 관리법 (12) | 2025.05.09 |
주식 양도소득세, 나도 내야 할까? 기준과 계산법 정리 투자자 필독! (9) | 2025.05.09 |
미국 주식 배당세 이중과세 안 내는 법 쉽게 알려드립니다 (13) | 2025.05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