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청약통장 만들려고 하는데... 뭐가 좋은 거야?”
"주택청약저축? 주택청약종합저축? 이름부터 헷갈려요!"
"요즘은 종합저축을 다 쓴다는데, 구청이나 은행에서는 저축도 괜찮다고 하던데?"
"가입하고 몇 년 지나면 못 바꾼다던데, 처음에 잘 골라야 한다면서요?"
2025년 현재도 많은 분들이 청약 통장 가입할 때 가장 먼저 고민하는 것이 바로 이거예요.
'주택청약저축'과 '주택청약종합저축'은 비슷해 보여도 대상, 조건, 혜택이 다릅니다.
그리고 한 번 가입하면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, 처음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.
그래서 오늘은 두 상품을 완전 객관적으로, 현실적으로 비교해드릴게요.
지금 내 상황엔 뭘 가입해야 하는지,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!
기본 개념부터 짚고 가자
✅ 주택청약저축 (구형)
- 국민주택(85㎡ 이하) 전용
- 무주택 세대주만 가입 가능 (단독 세대주 포함)
- 국가 지원 대상 (국민주택기금 기반)
📌 요약:
✔ 공공분양(국민주택)용 청약통장
✔ 가격 낮은 공공분양에 유리
✔ 청년, 신혼부부 특별공급 지원 가능
✅ 주택청약종합저축 (현행 표준)
- 민영주택 + 국민주택 모두 청약 가능
- 나이, 직업, 무주택 여부 상관없이 누구나 가입 가능
- 은행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 (2만 원~50만 원)
📌 요약:
✔ 민영/공공 둘 다 가능
✔ 인기 많은 민간 아파트 청약도 가능
✔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 무주택 조건 충족하면 됨
조건별 한눈에 비교
가입 가능 대상 | 무주택 세대주 | 제한 없음 |
청약 가능 주택 | 국민주택 전용 | 국민주택 + 민영주택 모두 가능 |
사용 가능한 청약 | 공공분양, 특별공급 위주 | 공공 + 민간 청약 모두 가능 |
세액공제 | 연 최대 240만 원까지 40% | 연 최대 240만 원까지 40% |
이자율 | 약 1.8% | 약 1.8% |
가입 제한 | 있음 | 없음 |
✔️ 이자율과 세액공제는 동일합니다.
✔️ **결정적 차이점은 ‘청약 가능 범위’**에 있어요.
2025년, 시장 상황을 반영해서 보면?
요즘 청약 시장 트렌드
- 수도권 인기 지역 = 대부분 민영주택
- 공공분양 비율은 감소하는 추세
- 청년/신혼부부 특별공급은 여전히 메리트 있음
- 분양가 상한제 적용 아파트도 민영이 많음
요약: "국민주택만 청약하는 시대는 이미 끝났다!"
👉 앞으로 청약할 기회, 물량은
**민영주택(민간분양)**이 훨씬 많습니다.
실제 시나리오로 비교해보자
시나리오 A: 29세 직장인 (무주택, 독신)
- 소득: 연 3,500만 원
- 희망: 서울/수도권 청약 도전
추천:
✔ 주택청약종합저축
(민영주택 청약 가능 + 자유롭게 납입)
시나리오 B: 32세 신혼부부 (맞벌이)
- 소득: 부부 합산 연 7,000만 원
- 희망: 신혼부부 특별공급 활용
추천:
✔ 주택청약종합저축
(공공분양/민간분양 모두 가능, 특별공급 노리기 유리)
시나리오 C: 50대 부모님 (내집 마련 마지막 도전)
- 소득: 없음 (퇴직 후)
- 희망: 공공임대 청약 희망
추천:
✔ 주택청약저축
(국민주택 전용 청약, 공공임대 노리기)
청약통장 가입 시 주의할 점 5가지
- 청약통장 ‘첫 가입일’이 매우 중요합니다
- 가입 기간 = 청약 가점에 직접 반영 (1년마다 1점씩)
- 납입 인정 금액 기준이 있습니다
- 1회 2만 원 이상 납입 → 납입 인정 횟수 쌓기 필수
- 무조건 금액이 중요한 게 아니라 "횟수"가 중요!
- 자동이체 설정 추천합니다
- 깜빡 잊고 납입 안 하면, 인정 횟수 날아갑니다.
- 특별공급 노릴 거면 자격요건 미리 확인하세요
- 예: 신혼부부, 다자녀, 생애최초, 노부모부양 등
- 중간 해지하면 모든 청약 인정 실적이 사라집니다
- 해지 시점에 따라 세액공제 받은 부분도 추징될 수 있어요.
✍️ 정리
민영주택까지 노리고 싶다 | 주택청약종합저축 |
국민주택(공공분양)만 노린다 | 주택청약저축 |
사회초년생이다 | 주택청약종합저축 |
신혼부부 특별공급을 준비한다 | 주택청약종합저축 |
50대 이상 공공임대 준비 중이다 | 주택청약저축 |
"지금은 대부분 종합저축이 표준.
단, 국민주택만 목표라면 저축도 유효!"
👉 주택청약종합저축은 '올인원 청약통장',
👉 주택청약저축은 '공공주택 전용 청약통장'이라고 기억하세요!